부록Ⅰ- 기호와 용어


변형-생성문법의 이론 :
Noam Chomsky, 이승환.이혜숙 공역, 범한서적주식회사, 1966 (원서 : Syntactic Structures, Mouton & co, 1956), Page 127~129

 

본 부록에서는 지금까지 사용된 새롭고 잘 알려지지 않은 기호와 용어의 사용실례를 단순히 해설하겠다.

언어학적 계층 (linguistic level) 은 언어표현 (utterance) 을 나타내는 방법이다. 각 계층에는 유한 (finite) 한 기호 (symbol) 의 어휘(vocabulary) (음운론의 계층에서는 이 어휘를 그 언어의 자모 (alphabet) 라고 부른다) 가 "연결" 이라고 불리우고, +로 표시되는 작용에 의하여 선형적 연결체 (linear sequence) 로 배열되어 기호의 연결체 (string of symbols) 를 형성한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영어의 형태론계층에는 the, boy, S, past, come등의 어휘요소가 있고, 이것들은 "the boys came" 이라는 언어표현을 나타내는 연결체 the + boy + S + come + past (여기에서 형태음운규칙을 적용하면 /ðłb yz#kéym/이라는 요소로 된 연결체를 만든다) 를 형성한다. 음운론 이외의 계층에서는 어휘기호와 표시기호의 연결체에 대하여 이태릭체나 인용부호를 사용하였다. 음운론계층에서는 연결기호 (concatenation symbol) 인 +를 사용하지 않고 상례에서 보인 바와 같이 관례적인 사선 (slant line) 을 사용한다. 연결체에 반하여 변수 (variable) 를 표시할 때는 X, Y, Z, W 를 사용하였다.

 때때로 연결기호인 +기호를 대신하여 하이픈 (hyphen) 을 사용하였다. 이렇게 하는 이유는 그 때 그 때 특히 문제가 되는 언어표현의 한 부분에 주의를 환기시키기 위해서 이다. 때에 따라서는 같은 목적을 위해서 보통 보다 넓은 간격을 사용하기도 하였다. 어느 쪽의 표시방법을 사용했느냐 하는 것이 특별한 조직적인 의미를 갖는 것은 아니다. 다만 해설상의 명확성을 고려하여 사용하면 된다. 변형규칙에 있어서는 특종의 변형규칙이 부가하는 연결체의 분할을 표시하기 위하여 하이픈을 사용한다. 즉, Tq라는 의문변형규칙 (question transformation) 이

와 같은 형의 연결체에 적용되어 처음의 두 분절을 도치시킨다는 내용은 이 변형규칙이 예를 들어

에 적용된다는 것이다. 이렇게 되는 이유는 이 연결체에서 they 가 NP 이고 arrive 가 V 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경우의 변환형은

이며, 결국 "have they arrived?"가 된다.

X→Y 라는 형의 규칙은 "X 를 Y 로 고쳐 써라" 라는 지시로 해석하면 된다. 여기서 X 와 Y 는 각각이 연결체 이다. 나타나기도 하고 안 나타나기도 하는 한 요소를 표시할 때는 (  ) (소괄호) 를 사용하고, 요소들 가운데서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경우를 표시할 때는 {  } (중괄호) 를 사용한다. (또는 열거하기도 한다.) 즉, 다음의 (121 i) 과 (121 ii) 의 규칙

는 각각이 두 가지 가능성을 나타내는 다음의 두 규칙을 합한 축약규칙이다 :  a → b + c 와 a → b

다음의 표에는 위에서 말하지 않은 특수기호가 처음 사용된 장소의 페이지 (page) 를 표시하였다.